2017년 9월 29일 금요일

이헨 코빗을 이용한 비트코인 기부 방법

이 요약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헨 비트코인 충전법과 기부 방법

비트코인은 거래내역은 완전히 공개되지만
사용자의 익명성은 보장되는 가상화폐입니다 - 사이트 운영자가 페이팔로 기부 안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겠죠?

현재 기부페이지에서 비트코인을 24시간내에 가장비싼 값으로 쳐주기도 하고
코인 거래소에 3천원 지원금 때문에 9만원 정도의 돈으로 100달러를 기부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기부에 앞서 사이트에서 몇코인을 기부하면 50달러 또는 100달러로 쳐주냐를 알아봐야 합니다
갤러리 상단의 마이홈 - 도네이션 을 눌러 자신의 코인지갑 주소 (= Your Wallet Address)를 복사해 둡니다.



자신이 기부할 액수를 입력해서 해당금액 대비 비트코인값을 알아냅니다.

지금은 100달러당 = 0.14981722 비트코인 이네요

제가 알려드릴 한국비트코인 구매처는 수수료가 0.0002 BTC  = 약 120원 이므로

0.14981722 + 0.0002 = 0.15001722 코인이 필요하겠네요 현재 1BTC=60만원 정도이므로 9만원이면 100달러를 기부할수 있겠네요


2.  비트코인 구매방법 및 비트코인 전송방법

먼저 Xcoin 사이트로 알려드리는 이유는 맨처음 회원가입시 3000원의 현금을 지원해 줍니다

회원가입 - 로그인후 구매버튼을누르면


아래와 같은화면에서 현금얼마를 사용해야 100달러를 기부할수 있을지 가늠할수 있습니다.

필요한 금액은 0.15001722 비트코인 이였지만 비트코인을 보내는데 빠르면 몇분에서 길면 몇시간 걸릴 수 있기때문에 넉넉하게 0.152 정도의 코인을 구매합니다
※ 해당사이트의 최소 비트코인 전송금액이 0.01BTC(약6천원) 이니 비트코인이 10원만 부족해도 6천원을 결제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합니다 106달러 기부한 저 처럼 ㅠㅠ.... ※

넉넉하게 잡았음에도 91,048원이니 지급된 3천원을빼고 88100원을 좌측 밑 KRW 충전버튼으로 충전해
0.152BTC를 구매합시다


구매하셨으면 아래 사진과 같이 출금액엔 0.152 
비트코인 출금 주소는 이 글 3번째 사진에서 복사해둔 지갑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하시고
SMS / 이메일 인증을거치시면 비트코인이 자신의 지갑주소로 발송되게 됩니다


그럼  밑사진 파란부분에 시간과 발송한 비트코인 / 비트코인거래현황 / 대기중   <<-- 이런형식으로 뜨게되는데

최소 수분에서 최대 몇시간내로 저렇게 확인 상태로 변하게되면  왼쪽 밑 주황색 기부버튼을 통해 기부할 수 있게됩니다


기부를 하게되면 기부금액에 따라

 < 처럼 기부금액에 만배에 해당되는 크레딧이 바로 지급됨.
또 다음날 9시부터 일일 보너스를 받을 수 있게됩니다.

기부등급별 혜택은 http://ehwiki.org/wiki/Donation#Stars 를 참고하세요

기부에 걸리는시간은 5분이 채 걸리지 않지만 보내도 확인시간까지 수분에서 최대 몇시간까지 걸리기도합니다

[헨버] 한손검방패전사류 한손중갑전사 (일명 무한스피릿모드) 총정리

예전부터 쭉 쓰고 싶었지만 아직 완성인지 아닌지 확신이 없어 쓰지 못하다가
여기서 더 성장하려면 장비를 획기적으로 교체하거나 무기/방어구를 엄청나게 강화하지 않는 한 무리라고 판단되고,
이제 어느 정도 완성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글을 씁니다.

저는 0.76 이후에 HV를 시작해서 잘 몰랐지만 포럼의 글을 읽다보니 현재의 한손무기 스타일은 0.76에서 상향된 결과이고
기존에는 여러가지 면에서 그다지 좋지 않은 무기스타일로 인식되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0.76에서 반격에 의해 오버차지 5~10이 들어오도록 수정되고, 반격 확률도 증가함)

여튼 0렙 때부터 한손중갑전사를 키워온 제 경험 상 한손중갑전사 스타일의 최종완성은 300렙이라고 생각됩니다.
우선 300렙에 Ripened Soul 어빌 2렙을 찍을 수 있다는 게 큰 이유고,
또한 장비를 맞춘 이후부터는 장비 강화 및 레벨업 정도로만 성장이 가능하고 더 이상의 큰 성장은 힘들기 때문입니다.
어디까지나 이 스타일은 제가 지금까지 HV를 플레이하며 얻은 수많은 시행착오와 경험 끝에 만든 것이므로
더 좋은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고 생각하고, 글에서 오류가 보이거나 개선사항이 보인다면 언제든지 의견을 말씀해 주세요 :)
그리고 모든 운영 및 세팅은 225~300렙 아레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Evade = 회피, Block = 블락, Parry = 패리, Resist = 저항)


[한손중갑전사의 특징]
1. 반격 (Counter-Attack)
한손중갑전사에게 빼놓을 수 없는 패시브입니다.
적의 공격을 블락/패리 시, 공격한 상대에게 최대 75% 확률로 반격(대미지는 75%)을 하며 일정확률로 스턴을 겁니다.

이로 인해 약간의 딜링 뿐만 아니라 스턴으로 인한 생존성과 적의 회피/패리불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원하는 상대에게 무기스킬2번을 쉽게 먹일 수 있는 추가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반격을 통해 일반공격과 마찬가지로 5~10%의 오버차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피릿 모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일명 무한 스피릿 모드.
그리고 한손숙련도가 200 이상이 되면 최대 3마리의 적에게 반격을 할 수 있게 되므로
200렙 이상만 되어도 사실상 한손중갑전사 스타일이 정립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패시브.
(단, 한 턴에 얻을 수 있는 오버차지는 1회의 반격에 대해서만 가능합니다. 즉, 일반공격 포함하여 한 턴에 10~20% 수급 가능)
 3반격부터는 위와 같은 상황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한손전사에게는 클럽이 거의 무용지물이나 다름없죠.
경갑전사의 경우 경갑 특유의 회피, 저항에 한손전사의 블락, 패리까지 더해지므로
생존성에 있어서는 HV에 존재하는 모든 전투스타일을 통틀어 최강이지만
파슬을 끼지 못해서 공격력이 매우 떨어지고, 또한 회피로 인해 반격 확률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HV의 방어시스템이 물리공격: 회피->블락->패리, 마법공격: 회피->블락->저항 순으로 이루어지므로
적의 공격을 회피해버리는 순간 블락, 패리를 할 수 없게 되고, 자연히 반격 역시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한손전사의 경우 중갑을 선호하고 Shadow Veil 역시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도 마찬가지고요.
+추가 (2013.12.14): 물론 그렇다고 해도 Shadow Veil이 완전히 쓸모없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몹들의 공격력이 강해지고 8~9마리씩 몰려 나오는 GF, IW 후반에 생존력을 높여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만 이 글은 225~300렙 아레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Shadow Veil이 큰 의미가 없다는 것.

확률(최대 75%) = 25 + (STR + DEX) * 0.02 + 한손숙련도 / 10

한손숙련도 100 미만: 반격 1회
한손숙련도한손숙련도

2. Overwhelming Strikes
역시 한손무기 스타일을 사용할 때의 패시브입니다.
공격이 성공했을 때 일정확률(최대 30%)로 자신에게 걸리며, 최대 5중첩까지 가능합니다.
효과는 4턴간 공격력 15% 증가, 명중률 50% 증가, 패리확률 10% 증가이며 (중첩 횟수와 무관하게 고정 수치로 증가)
1중첩 당 20%의 카운터패리 능력을 부여합니다. 즉 5중첩시 100%의 카운터패리.
무기효과의 경우 크리티컬이 터지면 무조건 걸리므로 생각보다 효과가 잘 걸리는 반면
이 패시브는 공격명중시 고정확률이므로 생각보다 계속 유지되는 건 쉽지 않지만
이 패시브 덕분에 한손전사는 초중반에 명중률이 낮을 때도 적이 회피와 패리를 잘 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카운터패리 능력을 부여하는 Overpower 무기 포텐시는 한손전사에게 있어서 거의 의미가 없어집니다.

확률(최대 30%) = 5 + (STR + END) * 0.01 + 한손숙련도 / 20

3. 무기스킬1 Shield Bash, 무기스킬2 Vital Strike, 무기스킬3 Merciful Blow
한손무기의 무기스킬1 Shield Bash는 오버차지 25를 소모하여 적에게 crushing 대미지를 주고 5턴간 스턴효과를 부여합니다.
오버차지 소모가 낮은 데다가 한손전사가 워낙 오버차지 수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위험한 경우 한번씩 사용해서 스턴으로 적의 공격을 끊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다음과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가능합니다.
- 스쿨걸 등 HP높은 보스급 몬스터와 1:1 상황에서 SP/MP공격을 맞아 HP가 많이 떨어진 경우 사용하면
  굳이 Cure를 사용하지 않아도 스턴 지속시간 5턴간 Regen에 의해 HP가 회복되므로 Cure MP를 아낄 수 있습니다.
- 암흑주문 -> Drain으로 Spirit Theft를 사용하고 싶은데 상대 몬스터의 SP가 이미 꽉 차 있을 경우 사용하면
  다음 턴에 SP 공격을 해서 SP 흡수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단 해당 몬스터의 HP가 최소한 Shield Bash에 맞고 죽지 않을 정도는 되어야겠죠.

그리고 PFUDOR난이도 + Haste 상태에서만 가능한 방법인데, 1:1 상황에서는 Shield Bash로 무한 스턴이 가능합니다.
이것이 PFUDOR에서만 가능한 이유는 이 글을 참고하세요. http://cafe.naver.com/versewiki/1713
Haste만 유지된다면 1:1로는 FSM 역시 어떤 버프나 디버프도 사용하지 않고 평타만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
+추가 (2014.04.05): 현재는 PFUDOR 공속 패치가 이루어진 상태라서 이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손무기의 무기스킬2 Vital Strike는 오버차지 50을 소모하여 적에게 사용중인 무기 대미지 타입의 대미지를 주고,
스턴 상태인 적에게 사용 시 큰 대미지와 함께 일정확률로 5중첩 출혈을 적에게 10턴간 부여합니다.
사실 한손전사가 225렙 이상 아레나를 빠르게 클리어할 수 있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스킬입니다.
이 스킬1 - 스킬2 콤보가 없었다면 225렙 이상 아레나 클리어 시간이 양손전사보다 빠를 수가 없었겠죠.
AD에 따라 다르지만 AD 6300 + 스피릿 모드 + Heartseeker + 3중첩 관통 + 크리티컬 기준으로 보통 50~60만 대미지를 주고,
제 경우 2만 정도의 출혈 대미지를 10턴 간 입힙니다.

 올바른 예 (스턴 상태의 적에게 사용)


 잘못된 예 (스턴 상태가 아닌 적에게 사용)

참고로 출혈 대미지는 고정 대미지이므로 Vital Strike로 실제로 입힌 대미지나 관통 여부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스피릿 모드, Heartseeker, Overwhelming Strikes, Godslayer 등의 title bonus, 대미지 증가 Hath 특전 등에는 영향을 받습니다.
 모든 방어구를 벗어 대미지를 3665까지 떨어뜨린 후 실험.
 관통효과 없는 상태 + Overwhelming Strikes + Godslayer상태에서 4637 대미지.
출혈 대미지 = 기본 대미지 * 출혈 중첩횟수 * DOT % * 0.4 * 기타 AD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들
 = 3665 * 5 * DOT % * 0.4 * 1.15(Overwhelming Strikes) * 1.1(Godslayer title) = 4637이므로 출혈 DOT = 50%임을 알 수 있음.

 관통효과 2중첩 상태 + Overwhelming Strikes + Godslayer상태에서도 4637 대미지로 동일.
AD 6000으로 가정하면 Overwhelming Strike + Heartseeker + 스피릿 모드 + Godslayer 상태인 경우
6000* 5 * 0.5 * 0.4 * 1.15 * 1.25 * 2 * 1.1 = 18975의 출혈 대미지를 10턴 간 입힙니다.

마지막으로 한손무기의 무기스킬3 Merciful Blow는 오버차지 75를 소모하여 적에게 대미지를 주며,
현재 출혈상태이고 HP가 25%이하인 적을 무조건 즉사시킵니다. (http://cafe.naver.com/versewiki/880 참고)
따라서 HP가 매우 높은 FSM, Invisible Pink Unicorn, Real Life, 3드래곤 등에게 막타로 효율적이지만 그 외에는 오버차지 낭비.


[숙련도]

One-handed와 Heavy Armor는 당연히 최대, Supportive는 거의 최대, Deprecating은 최대의 80~90% 정도,
Forbidden은 Spirit Theft를 효율적으로 성공시키고 싶은 경우 암흑주문 3티어 Ragnarok를 사용하기 위해 200 이상을 권장합니다.


[트레이닝]

225~300 아레나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위에 표시한 4가지 트레이닝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봅니다.
우선 225~300 아레나를 도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아레나 클리어 보상 장비와 가성비에서 좋은 경험치겠죠.
따라서 Adept Learner와 Luck of the Draw는 크레딧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최대로 찍어주는 게 좋습니다.
물론 LoTD 뿐 아니라 Scavenger나 Quartermaster도 어느 정도 찍어주는 게 당연히 좋습니다.
저는 이제 LoTD는 너무 비싸서 더 안 찍고 Scavenger에 중점을 두기로 함.
그리고 빠른 클리어를 원한다면 Pack Rat은 당연히 10렙 찍어야 합니다.
Ability Boost의 경우 지금 저는 신성법사를 겸직하느라 많이 찍은 상태지만
한손중갑전사만 운영할 경우 많은 AP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배틀 아이템]
 레벨, 금기 숙련도, 취향에 따라 Spirit Potion을 더 넣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irit Theft를 안 쓴다면 Spirit Potion이 훨씬 많이 필요할 것입니다.
스크롤은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넣어두기만 했고, 몇 턴 지속되는지 테스트할 때 외에는 사실 실전에서 쓴 적은 없음;


[어빌리티]
350렙 이상 기준
 General은 Better Health Pots 빼고 다 찍되, Better Spirit Pots의 경우 2단계만 찍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만
AP가 남을 경우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3~4단계까지 찍어도 상관없습니다. ( 120AP)
- HP Tank 10렙 36AP, MP Tank 10렙 36AP, SP Tank 8렙 26AP, Better Mana Pots 4렙 17AP, Better Spirit Pots 2렙 5AP

 One-Handed는 당연히 다 찍어야죠. ( 16AP)
- 1H Damage 3렙 10AP, 1H Accuracy 2렙 3AP, 1H Block 1렙 3AP

 Heavy Armor도 필수. ( 67AP)
- Heavy Crush 3렙 15AP, Heavy Prcg 3렙 15AP, Heavy Slsh 3렙 15AP, Heavy HP 7렙 22AP

 Deprecating1에서는 Weaken 계열만 찍어주면 됩니다. ( 33AP)
- Better Weaken 5렙 18AP, Faster Weaken 3렙 15AP

 Deprecating2에서는 Better Silence와 Spirit Theft를 찍습니다. Spirit Theft는 무한스피릿모드를 위해 필수. (총 20AP)
Spark of Life나 Spirit Shield로 인해 SP 소모가 많아서 Drain을 더 자주 사용하고 싶다면
AP가 남는 경우 Faster Drain을 찍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AP가 모자라고 Silence를 잘 쓰지 않는다면 당연히 Better Silence는 빼도 됩니다.
- Better Silence 3렙 15AP, Spirit Theft 1렙 5AP

Supportive1에서는 버릴 게 거의 없지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Shadow Veil은 잘 사용하지 않고, Absorb은 취향에 따라. (총 89AP)
단 Spirit Shield의 경우 레벨이 낮아서 4렙 이상 찍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입니다.
- Better Haste 5렙 15AP, Stronger Spirit 5렙 15AP, Better Heartseeker 6렙 21AP, Better Regen 7렙 28AP, Better Cure 3렙 10AP

 AP가 정 모자라다면 Supportive2에서는 Spike Shield를 끝까지 찍을 필요는 없고
Spark of Life를 사용하지 않는 분이라면 Better Spark에 AP 투자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총 38AP)
포럼에서도 고수들이 죄다 입을 모아 SoL을 사용하지 않는 걸 추천하지만 저는 보험 용도로 사용중이라...
- Better Spark 3렙 10AP, Better Protection 5렙 15AP, XXX Spike Shield 5렙 13AP

Spike Shield는 우선 무기 속성 strike에 맞춰 설정하는 게 베스트입니다.
따로 찾아보지 않으면 가끔 헷갈릴 때가 있어서 다시 정리하자면
- 자신의 무기 strike가 화염(fiery / fire strike) -> 전기(shock)를 설정: 화염속성방어-25, 회피-10%, 저항-10%
자신의 무기 strike가 전기(shocking / elec strike) -> 바람(storm)을 설정: 전기속성방어-25, 명중-10%
자신의 무기 strike가 바람(tempestuous / wind strike) -> 냉기(frost)를 설정: 바람속성방어-25, 속도-10%
- 자신의 무기 strike가 냉기(arctic / cold strike) -> 화염(flame)을 설정: 냉기속성방어-25, 대미지-10%
이 화염->전기->바람->냉기->화염 사이클은 원소법사의 경우 활용했던 적이 예전에는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런거 없이 Phase가 하나의 EDB만 올려주는 HV 시스템 상 한 속성만 파는 쪽이 더 낫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무기 strike가 신성(hallowed / holy strike)이나 암흑(demonic / dark strike)의 경우라면 취향에 따라 선택.
개인적으로는 화염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역시 일반적으로 추천한다면 냉기나 바람이겠죠.
한손전사는 명중률이 높기 때문에 전기는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해당 속성방어도 +25%도 추가되므로 자신이 특히 약한 속성방어가 있다면 그것 역시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Forbidden에서 Spirit Theft를 위한 Ripened Soul을 찍으면 어빌리티 설정은 완성입니다. (총 17AP)
- Ripened Soul 2렙 17AP

Major Ability Slot 13개
Supportive Ability Slot 10개
Protection Augment Ability Slot 1개
Drain Augment Ability Slot 1개
(350렙 기준) 총 AP = 120 + 16 + 67 + 33 + 20 + 89 + 38 + 17 = 400AP

300렙에서는 MP Tank 8렙 (-10AP), SP Tank 7렙 (-5AP), Heavy HP 6렙 (-5AP), Better Heartseeker 4렙 (-11AP) 이므로
369AP가 필요합니다. 즉, Ability Boost 69단계면 완성 가능합니다.
그리고 350렙 기준이라면 Ability Boost 50단계로 가능하네요. 어빌리티 슬롯은 충분할 거고요.
만약 현재 레벨에서 AP가 모자라다면 위에서 언급한 굳이 필요없는 어빌들을 한두 개 빼시면 될 듯.

300렙 기준 369AP (Ability Boost 69단계 필요)
350렙 기준 400AP (Ability Boost 50단계 필요)


[보조주문, 퀵바 및 자동시전 설정]
대부분의 전투시간 동안 Haste, Protection, Regen, Heartseeker 4가지는 항상 필수이며
여기에 끔살 방지용으로 Spark of LIfe나 Spirit Shield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조금 실수해도 괜찮은 안전한 플레이를 원한다면 Spark of Life나 Spirit Shield를 추가하는 것이 좋고
아레나 후반부에 몹이 7~8 이상 떼거지로 나오거나 랜덤 인카운터, 링 오브 블러드의 경우에는
무조건 둘 중 하나 이상은 추가하는 걸 권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Spirit Shield 4렙 이상일 경우 Spirit Shield를 추천.
 저는 귀찮은 걸 싫어해서 자동시전 3개를 열고 Haste, Protection, Spark of Life를 설정해 두었기 때문에
전투 중에는 실질적으로 Regen과 Heartseeker 두 개만 신경쓰면 됩니다.
자동시전을 걸어두면 채널링이 적게 떠서 Heartseeker 등을 채널링으로 시전하지 못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었고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었는데, 실제로 적용해보면 그럴 일은 드뭅니다.
현재 제 기준으로 Regen이 약 95턴, Heartseeker가 325턴 정도 유지되기 때문에
Heartseeker의 지속시간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최소 4번 채널링이 뜰 기회가 있으며,
도중에 금지주문, Drain, Weaken, Cure 등도 사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Mystic Gem이 뜰 확률이 있으므로
Heartseeker를 그냥 시전할 일은 어쩌다 한번 있을 뿐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게다가 일단 채널링으로 Heartseeker가 시전되면 490턴 가량 유지되니 그 사이에 채널링이 다시 뜰 확률은 더욱 높아지죠.

그리고 여담이지만 신성법사나 양손전사에게 필요한 Shadow Veil도 설정하기 위해서
나중에 자동시전을 하나 더 추가할 계획입니다. 일일이 시전하기 귀찮아서요; MP도 절약되고.
물론 자동시전은 어디까지나 필수가 아닌 옵션이지만 슬롯 1개 정도는 열어두는 게 여러모로 편합니다.
슬롯을 더 열수록 다른 데 신경쓰지 않고 딜에만 전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리어 시간이 감소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단, 자동시전을 사용중일 때는 MP가 최대MP의 1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퀵바 역시 취향. 자동시전에 설정해둔 보조주문은 퀵바에서 해제해도 좋습니다.
금지주문, Drain, Weaken, Silence, Cure, 보조조문6개 (Haste, Protection, Spark of Life, Spirit Shield, Heartseeker, Regen)
그리고 HVSTAT 등의 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Shield Bash와 Vital Strike도 추가하고,
Full-Cure는 거의 쓸 일이 없긴 하지만 그래도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서 추가.


[장비 및 최종 능력치]
이 부분은 레벨이나 스탯에 따라 달라지긴 합니다.
무기
- WD max~exmax 정도인 Exquisite/Magnificent + Hallowed/Demonic/Ethereal + Rapier of Slaughter
- 225 이상 아레나에서는 Hallowed/Demonic의 holy, dark strike가 스쿨걸에게 특히 강한 면모를 보입니다.
  코나타는 신성/암흑이 아닌 바람이 약점이지만 어차피 HP가 다른 스쿨걸에 비해 매우 낮아서 금방 처치가능하니 상관없습니다.
- 한손중갑전사 최대의 적은 거인도, 용족도, 심지어 스쿨걸도 아닌 천사와 요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공격측면에서는 Demonic에게 조금이나마 더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반면 Hallowed의 경우 holy EDB를 높여주는데, 이로 인해 Cure의 효율이 상승합니다. (Regen은 해당되지 않음)
  예를 들어 holy EDB가 25%가 되면 Cure의 효율도 25% 증가하죠.
  따라서 보조측면에 있어서는 Hallowed에 조금이나마 더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참고로 FSM에게도 hallowed가 더 효율적.
- 물론 WD는 mmax이상이면 더욱 좋습니다. 특히 강화할 예정이라면.
  하지만 많은 WD를 기대할 수 있는 양손무기와는 달리 한손무기는 WD 자체가 낮은 편이라 어차피 큰 차이가 안 나기 때문에
  다른 스탯이 괜찮다면 익스 급도 괜찮고 굳이 마그 급에 연연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마그 급 레이피어를 비싸게 살 돈으로 방패나 방어구를 교체하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한손전사는 의외로 무기에 큰 돈을 들일 필요가 없어요.
- Ethereal을 구하는 것도 좋지만 양손무기와는 달리 한손무기는 burden이 그리 높지 않고,
  또한 Lv.10에서 원하는 속성을 얻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필수는 아닙니다.
  그리고 Lv.10에서 holy strike를 얻더라도 holy EDB가 증가하지는 않으므로 Cure의 효율이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만약 ethereal 무기를 쓰고 있고, 인퓨전 수급에 문제가 없다면
  그냥 IW 9렙까지만 만들고 스트라이크는 인퓨전으로 해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관통확률, 무기효과 지속시간, 패리 등도 높으면 당연히 좋지만, 역시 매우 높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크리티컬이 터지면 무기효과가 100% 발동하고, 무기효과는 5턴만 되어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게다가 레벨이 오르면 무기효과 지속시간도 오르기 때문에
  WD, PAB, 패리 등 다 좋은데 PA확률이나 턴 수가 조금 낮다고 무조건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고렙에서도 턴 수가 4턴 이하로 보인다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 PAB, 명중률, 크리티컬 확률 역시 크게 상관없습니다. 4PAB라면 당연히 좋겠지만 이제 옛날 물건이라 쉽게 구할 수 없습니다.
  2PAB의 경우 STR과 DEX가 빠지는 건 조금 그렇지만, AGI이 빠진다면 크게 문제 없습니다.
- 따라서 평균 300~500k면 괜찮은 Ex급 Hallowed/Demonic Rapier of Slaughter을 구할 수 있다고 보며,
  방패, 방어구 교체가 끝나고도 시간과 자금의 여유가 충분하다면 더 큰 돈을 들여 Mag급을 구하면 됩니다.

방패
- 제일 중요한 부위. Force Shield가 등장하기 전이었다면 Mag/Leg (Reinforced) Tower Shield of the Barrier.
  하지만 지금은 Force Shield가 등장했으므로 무조건 Mag/Leg Force Shield of XXX를 구하면 됩니다. 접미사는 취향에 따라.
- 취향이라고 썼지만 그래도 어떤 접미사가 좋은지 알고 싶은 분을 위해서 적자면, 일반적으로 포럼에서 평가하는 가치는
  Warding > Protection > Dampening >= Deflection = Stoneskin. 단 경갑의 경우 Deflection을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 당연히 3PAB는 기본에 블락이 높을수록 좋으며, 블락 mmax 이상인 경우라면 무조건 15~20강 이상 강화해서 쓰세요.
- Force Shield의 시세는 적당한 Mag급 정도라면 500k~1.2M 한도 내에서 구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방어구
- 한손중갑전사의 경우 방패의 블락과 레이피어의 패리를 믿고 하나씩 방어구를 Power Slaughter로 교체해 나가면 됩니다.
  이제 PMI에 더 이상 연연할 필요가 없습니다! :)
- 단, 그래도 불안하다면 한 부위 정도는 Plate Protection/Warding을 끝까지 유지하고 PMI/MMI강화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Shielding 접두사를 구해서 평생 장비로 쓰세요. 방패 블락을 거의 10단계 강화한 정도로 매우 높여줍니다.
- ADB, STR에 가장 중점을 둬서 경매 등에서 Ex급 Power Slaughter를 구한다면 부위당 100~200k면 충분합니다. 특히 ADB.
- 예산이 적다면 처음부터 Mag급이나 3PAB를 노리지는 말고 우선은 Ex급 2PAB로 무난하게.
- 비슷한 조건이라면 이왕이면 크리티컬 대미지 강화가 붙어있는 0.77 패치 후의 방어구를 노려보세요.
  하지만 크리티컬 대미지가 많이 붙어봐야 1~1.5% 내외이므로 다른 조건이 더 좋다면 구버전 파슬도 나쁘지 않습니다.
- 모든 방어구 교체후 방어구의 ADB를 Binding of Slaughter로 강화하고자 한다면 차라리 무기를 강화하세요.
  Power 방어구를 강화하려면 재료가 하나 더 필요한데다가, 비율로 올라가므로 당연히 무기 강화 쪽이 효율이 더 좋습니다.
  무기를 40~50강 이상 강화하고 나서도 돈이 넘치는 유저분이라면야 당연히 방어구도 강화하면 금상첨화고요.
- 강화할 수준의 거의 평생장비 급 Power 방어구라면 Mag + ADB exmax 이상 + PMI/MMI exmax 이상 + 3PAB를 구하세요.
- 이렇게 모든 방어구를 Power Slaughter로 교체하면 이제 레벨업 시
  레벨 스케일링으로 인한 ADB 증가 + STR, DEX 증가로 인한 AD의 증가율이
  STR, DEX 스탯 찍어서 올라가는 AD보다 훨씬 높아집니다. 쉽게 말해 가만히 있어도 레벨업만 하면 AD가 많이 오르는 거죠.
  이것 역시 Power Protection보다 Power Slaughter의 효율이 극딜을 위해서는 더 낫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참고로 제 방어구의 경우 (357렙 기준)
Ex헬멧: ADB +457.50 (base 20.41, exmax+1), STR +62.33 (base 5.67, max)
Mag갑옷: ADB +535.82 (base 23.90, mmax-0.9), PMI +9.90 (base 8.4, exmax), MMI +7.81 (base 6.63, exmax), 3PAB
Ex건틀렛: ADB +380.73 (base 16.98, exmax-0.9)
Ex레깅스: ADB +495.75 (base 22.11, exmax+0.8), STR +68.92 (base 6.27, max)
Ex부츠: ADB +323.90 (base 14.45, max), STR +52.51 (4.78, exmax)
이 중 갑옷을 제외하면 각 부위 당 100~200k로 비교적 저렴하게 구한 것들입니다. 대부분 경매에서 구했고요.

모두 따져보면 대략 2m~3m으로 기본적인 무한스피릿모드 한손중갑전사의 장비가 1차 완성 가능합니다.
물론 경매라는게 항상 그렇듯이 각 장비의 가격은 상황에 따라 2~3배 이상 뛸 수 있긴 합니다. :)

OFC (+추가)
이 글을 처음 쓸 때는 OFC를 쓰고 있지 않았지만, 이제 한손유저에게 OFC는 빼놓을 수 없는 스킬이 되었습니다.
쿨타임 50턴에 오버차지 200을 소모하여 몹 전체를 강하게 공격하는데, 오버차지 쌓는 속도가 빠른 한손과 궁합이 좋습니다.
OFC를 사용하려면 27종의 포니 피규어 중 서로 다른 21개를 보유해야 합니다.
보유하자마자 스킬이 생기지는 않고, 빠르게 활성화시키려면 장비 세트를 1 -> 2 -> 1 이런 식으로 변경해보세요.
포니 피규어의 시세는 수요에 따라 그때그때 다르지만 2014.06월 기준으로 보통 70~80k면 구할 수 있습니다.
즉 1.5~1.7m 정도면 21개를 모두 맞출 수 있습니다.

350렙 기준 목표
장비 가격 2m~3m + 포니 피규어 1.5m~1.7m
AD 6000, 명중 150, 크리 30%, 블락 45%, 패리 35% (블락/패리 확률 64.25%이므로 최종 반격확률 약 48.19% 달성 가능)
HP 15000, MP 1400, SP 1000, 자동시전 1개 이상
PMI, MMI는 이제 그렇게까지 신경쓸 필요가 없지만 PMI 65%, MMI 60% 이상이면 괜찮다고 봅니다.
저는 burden이 꽤 높은 편이니 가벼운 방패, mithril 파워 방어구 등을 구입하면 공속, 크리티컬 확률을 높이실 수 있을 겁니다.


[운영]
제가 344렙 때 225렙 아레나 클리어한 영상을 보시면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자신의 스킬1-스킬2 콤보의 대미지가 대략 어느 정도 나오는지 숙지하고
스쿨걸에게 어느 정도의 타격을 몇 턴만에 입힐 수 있는지, 몇 턴만에 해치울 수 있는지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
관통 3중첩이 걸리는 시간까지의 평타, 다시 스킬1-스킬2 콤보 쿨타임 돌아올 때까지 평타,
출혈로 입는 대미지(출혈이 100% 발동하진 않지만)를 모두 포함해서 보통 3번의 콤보, 코나타는 1~2번의 콤보로 가능합니다.
일반 몹의 경우 스턴 상태일 때 관통 없이 스킬2만 먹여도 대부분 즉사하거나 약간의 HP만 남으므로
라운드 시작과 함께 위협몹을 제거하는 데 유용합니다. 반격 스턴 때문에 굳이 스킬1-스킬2를 같은 몹에게 먹일 필요도 없고요.

또한 자신의 BASE MAGIC 수치와 BASE SPIRIT 수치 역시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해 둬서
마나 젬, 스피릿 젬을 사용했을 때 얼마나 회복되는지 알면 젬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요.

젬의 사용
젬을 얻은 경우 최대한 빠르게 사용해서 다시 다음 젬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 HP젬: 웬만하면 그냥 바로 사용해버리는 게 낫습니다. 몇몇 경우 유용할 때가 있는데,
  예를 들어 많이 쌓인 오버차지를 이용해서 포커스로 MP를 많이 채우고 싶을 때, 적의 공격에 의해 HP가 감소하면 사용하는 등.
  GF Hell 기준 700~800 라운드 이상에서는 Spirit Shield를 켜놔도 HP가 파도를 타기 때문에 이럴 때도 나름 유용합니다.
- MP젬: BASE MAGIC/2 이상 MP가 소모되어 있는 경우 바로 사용합니다.
  어차피 Regen 등은 꾸준히 써야 하고 SP를 채우기 위해 암흑-Drain으로 MP를 사용하므로 젬 사용 타이밍이 금방 올 겁니다.
- SP젬: BASE SPIRIT/4 이상 SP가 소모되어 있는 경우 바로 사용합니다.
  무한 스피릿모드를 유지할 수 있는 한손중갑전사이므로 역시 젬 사용 타이밍이 금방 옵니다.
- Mystic젬: 상황에 따라 다름. 보통은 MP소모가 많은 Heartseeker 지속시간이 끝나갈 때 Heartseeker에 사용하는 게 좋지만
  Heartseeker 지속시간이 많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Regen 지속시간이 끝난 경우에는 Regen에 사용하는 것이 낫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고하세요. http://cafe.naver.com/versewiki/1226
  이건 채널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Mystic젬이 채널링과 다른 점은 사용할 타이밍을 자신이 정할 수 있다는 것이겠죠.

Focus, Weaken의 활용
Weaken 관련 어빌 만렙시 쿨타임없이 매턴 최대 3마리의 적에게 Weaken을 걸 수 있습니다.
만약 적들의 저항이 짜증난다면 다음 방법들을 사용하세요.
- 라운드 돌입과 동시에 Focus를 사용한 후 Weaken을 거세요. 아직 몹들의 MP/SP가 모이기 전이므로 비교적 안전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몹 수가 7~ 이상이고 위협몹이 다수 있는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적들 대부분에게 (반격으로 인한) 스턴이 걸려있는 경우라면 그냥 Focus를 사용한 후 Weaken을 거세요.
  다만 바로 다음 턴에 대다수의 몹의 스턴이 풀리는 경우 아직 Focus 효과가 남아서 매우 위험해 질 수 있음을 주의하세요.
- 적이 소수만 남은 경우 Shield Bash를 사용한 후 Focus 사용. Shield Bash를 사용하면 5턴의 스턴이 보장되므로 안전합니다.
  이 방법은 Focus를 이용해서 오버차지를 MP로 안전하게 전환하고자 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200렙 이하 아레나, GF, IW
위의 경우는 모두 운영법이 거의 같습니다.
"무한 스피릿모드"라고 하긴 했지만, 안전하고 빠르게 운영하려면 S키를 통해 스피릿 모드 끄고 켜는 전환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Nintendo 난이도 이하의 GF, IW라면 스킬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몹들의 HP가 그리 높지 않고
몹들이 항상 7~8이상 나오기 때문에 SP가 떨어지기 전까지는 진정한 무한 스피릿모드가 가능하긴 합니다.

0. 필수 유지 버프는 Haste, Protection, Regen, Heartseeker. MP가 정말 모자라다면 Heartseeker는 계속 유지하지 않아도 무방.
   몹의 공격이 아프게 느껴지기 시작하면 Spirit Shield나 Spark of Life를 취향에 맞게 추가합니다.
1. 라운드를 끝내기 전에 몹이 1~2마리 남으면 다음 라운드에 등장할 HP높은 위협몹을 대비하여
   스피릿 모드를 끄고 오버차지를 70~80정도 모읍니다.
2. 새로운 라운드에 돌입하면 평타 2~3회로 오버차지 110을 넘김과 동시에 대부분의 몹들에게 반격으로 스턴을 먹입니다.
3. 스피릿 모드를 켠 다음 스킬1-스킬2로 위협적인 몹 두마리를 무력화합니다. (또는 스킬1-스피릿모드 켬-스킬2)
   만약 스킬을 사용해서 해치워야 할 정도로 위협적이거나 HP가 높은 몹이 없다면 그냥 평타로 진행해도 됩니다.
   참고로 스킬2를 스피릿 모드 상태로 사용하려면 오버차지 60이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스피릿 모드 상태로 스킬1-스킬2를 사용하려면 95 이상의 오버차지가 필요하고,
   스킬1 사용 후 스피릿 모드를 켜고 스킬2를 사용하려면 85 이상의 오버차지가 필요하므로
   넉넉히 110~120 이상 모은 후 사용하면 이후에도 계속 스피릿 모드를 유지하며 남은 몹들을 빠르게 제거 가능합니다.
4. 몹이 1~2마리 정도 남으면 1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도중에 SP가 떨어지면 Spirit Theft를 활용하여 SP를 충당합니다. 최소 적이 5~6 이상 있을 때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한 스피릿 모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인 Spirit Theft를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게 좋은지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고하세요. http://cafe.naver.com/versewiki/2682

그리고 적이 6~7 이상 나오고, 슬슬 몹들의 공격이 아프게 들어온다면
라운드 시작과 동시에 Weaken을 걸어두고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

225렙 아레나
스쿨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200렙 아레나와 거의 동일하지만 스쿨걸이 등장하는 라운드부터는 약간 달라집니다.

0. 역시 필수 유지 버프는 Haste, Protection, Regen, Heartseeker.
1. IWBTH 이하의 난이도라면 스쿨걸부터 잡아도 큰 상관은 없지만
   PFUDOR이라면 무조건 스쿨걸을 제외한 일반 몹부터 잡는 게 안전합니다.
   또한 PFUDOR이라고 해도 딜에 자신이 있다면 굳이 Weaken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200렙 이하 아레나, GF, IW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이 6~7 이상 있다면 Weaken을 아끼지 말고 사용하세요.
   Cure보다 Weaken이 MP도 훨씬 적게 소모됩니다.
2. 일반 몹을 제거하고 나면 스쿨걸을 1:1로 상대하는데, 이미 오버차지가 130~140 정도라면 그냥 스피릿 모드를 켠 채로도
   오버차지 100 이상을 유지하면서 관통 3중첩을 걸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반드시 관통 3중첩이 아니라 2중첩만 걸고 바로 스킬1-스킬2 콤보를 써도 충분합니다.
   스킬1의 스턴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반격으로 인해 걸려있을 수 있는) 스턴이 풀리자마자 콤보를 쓰는게 좋지만
   위험한 상황이 아닌 경우 굳이 남은 턴수를 계산해서 스킬1-스킬2를 사용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물론 다음 턴에 스턴이 풀리는 상황에서 스킬1을 사용해버리는 것은 주의해야겠죠.
3. 오버차지 200 이상에서 사용한 게 아니라면 스킬1-스킬2 사용 이후에는 오버차지가 100 이하로 남아있을 것이기 때문에
   다음 스킬 콤보를 사용하기 위한 오버차지를 유지하기 위해 스피릿 모드를 끄고 평타 상태로 돌아갑니다.
   평타를 치다가 스킬1을 사용가능하게 되면 바로 다시 스킬1-스킬2 콤보를 날립니다.
   역시 (이미 반격으로 걸려있을 수 있는) 스턴이 풀리거나 출혈효과가 끝나기를 기다릴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4. 스킬1-스킬2 사용 후 오버차지가 20 이상 남게 되면 수동으로 스피릿 모드를 꺼줘야 합니다.
    하지만 오버차지가 10~19 남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끄지 않아도 다음 턴에 자동으로 꺼지고,
    0~9 남는 경우에는 해당 턴에 바로 자동으로 꺼집니다.
    어차피 수동으로 꺼도 오버차지 10이 소모되므로, 오버차지를 19 이하로 남도록 하면 한 턴과 오버차지를 아낄 수 있습니다.
    스킬1-스킬2 사용후 오버차지가 19 이하로 남게 하기 위해서는 콤보를 오버차지 104 이하에서 시작하면 됩니다.
5. 스쿨걸을 제거하고 나면 다시 1부터 반복

250렙, 300렙 아레나
역시 225렙 아레나와 거의 동일하지만 스쿨걸이 2마리 이상 등장할 때는 무조건 스쿨걸에게 Weaken을 써주세요.
그래도 아프면 Silence까지 걸어도 되지만 보통은 그렇게까지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차라리 Spirit Shield를 활용하세요.
2마리가 등장할 경우 Weaken의 지속시간이 30턴 이상이라면 1번의 Weaken으로 스쿨걸 1마리를 처치할 때까지 유지될 것이고,
3마리가 등장한다면 배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3의 Weaken이 필요할 겁니다.


[마무리하며]
HV를 제대로 시작하고 3달 동안 한손중갑전사를 키우면서 알게된 노하우나 팁을 총정리해서 적으려다 보니 글이 길어졌네요.
이 글이 한손중갑전사를 처음부터 시작하거나 양손전사에서 중간에 갈아타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혹시 궁금한 게 있거나 지적할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아마 현재의 무기나 방어구를 풀강화하거나, 50M을 모아서 水銀燈さま가 파는 파워 방어구 세트를 구입하지 않는한;;
몇분 정도는 몰라도 제가 더 이상은 큰 시간 차로 갱신하긴 힘들거라 생각되는 구간별 시간측정 기록을 마지막으로 글을 마칩니다.
쓰는데 5시간 걸림 ㄷㄷ;

2013.10.18
레벨: 354
대미지: 6315

200렙 아레나 (10/12)
01-56  일반몹 4마리 구간  - 00:00:00
57-68  일반몹 5마리 구간  - 00:09:40
69-81  일반몹 6마리 구간  - 00:12:16
82-93  일반몹 7마리 구간  - 00:15:05
94-99  일반몹 8마리 구간  - 00:18:03
100     이그드라실, 3여신  - 00:19:37
100     클리어                    00:20:28

225렙 아레나 (10/12)
001-054  일반몹 3마리 구간  - 00:00:00
055-064  일반몹3 + 전설몹1  - 00:07:14
065-082  일반몹4 + 전설몹1  - 00:12:01 (66라운드) 
083-100  일반몹5 + 전설몹1  - 00:19:43
101-109  일반몹6 + 전설몹1  - 00:28:35
110        일반6+보스2+전설2 - 00:33:44
110        클리어                    00:34:59

250렙 아레나 (10/12)
001-041  일반몹 2마리 구간  - 00:00:00
042-078  일반몹2 + 스쿨걸1  - 00:04:09
079-083  일반몹3 + 스쿨걸1  - 00:17:40
084-109  일반몹3 + 스쿨걸2  - 00:19:40
110-124  일반몹4 + 스쿨걸2  - 00:39:43
125        일반4+보스3+전설3 - 00:51:57
125        클리어                    00:53:32

300렙 아레나 (10/18)
001-037  일반몹 3마리 구간  - 00:00:00
038-074  일반몹3 + 전설몹1  - 00:05:59
075-087  일반몹3 + 전설몹2  - 00:26:33
088-112  일반몹4 + 전설몹2  - 00:39:13
113-137  일반몹5 + 전설몹3  - 01:00:43
138-149  일반몹6 + 전설몹3  - 01:30:26
150        3드래곤                - 01:44:47
150        클리어                    01:47:09



출처// http://cafe.naver.com/versewiki/3594 글쓴이: 한손검방패전사